과연 해결책은 있는지

   2000년대 초반부터 수면 위로 올라온 ‘청년실업’은 아직도 나아지지 않는 사회문제이다. 그 중 ‘취업 양극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지난 해 채용시장은 전문직과 단순 노동직으로 양극화되는 추세가 더욱 뚜렷해졌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올해 9월에 펴낸 ‘채용 추이로 본 노동수요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에 가장 많은 채용이 이뤄진 직업군은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로, 91만1,000여 명(21.1%)이었다. 역시 높은 직업군으로 ‘단순 노동직’이 83만2,000여 명으로 19.3%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채용된 10명 중 3.5명은 전문가 또는 관리자였고, 2명은 단순 노동직 종사자인 셈이다.

이러한 양극화의 원인으로는 학벌 문제를 들 수 있다. 지난해 11월 온라인 취업포털사이트 『사람인』은 구직자 525명을 대상으로 ‘구직활동 중 취업 양극화 체감 여부’를 조사했다. 이에 응답한 많은 구직자들이 일자리 지원 시 학벌로 인해 손해를 본 적이 있다는 의견에 공감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명문대를 나온 경우 확실히 대기업이나 공기업 취업에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그 이유는 ‘조건이 까다로워서 지원조차 못 할 때’가 많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벌을 중요시 여기는 고용추세로 인해 취업의 양극화는 뚜렷해졌다.

현재 취업준비생들은 취업을 위해서 학력뿐만이 아닌 영어, 봉사 등의 대외활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왜냐하면 많은 기업들이 고용수준을 상향 평준화하여 영어 관련 자격증이 필수로 여겨지고 대졸 이상의 학력은 기본 자격요건이 되어버렸다. 구직자들은 기업이 요구하는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따른다. 앞서 언급한 조건들을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한 구직자들은 지원조차 못 할 때가 많다. 따라서 구직 의욕을 잃은 구직자들은 스펙이나 학벌 세탁에 집착하게 되고, 결국은 구직을 포기하기까지에 이른다.

이렇게 심각해진 취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임금 피크제’, ‘고용 유연화’, ‘취업규칙 변경요건 완화’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임금 피크제’란 일정한 연령이 되면 근로자의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정년이 될 때까지 고용을 보장하는 제도로서 이미 미국이나 유럽 그리고 일본 등에서 공무원 그리고 일반 기업체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는 정년을 보장하고, 정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일자리 수를 증가시키고, 취업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전망하게된다. 또한 ‘고용 유연화’란 인턴제와 계약직을 늘려 일자리를 늘리고 하청업계와 근로계약을 맺어 고용을 자유롭게 하여 일자리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취업규칙 변경요건 완화는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동의를 받아야하는 것으로 근로자의 부담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정부는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청년들이 취업에 성공하고 청년실업을 줄여야만 경제가 안정되고 미래를 보장받을 수 있다. 정부에서도 많은 대책을 세워 이 사회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해 애쓰고 있으며, 기업과 고용자들은 정부가 제시한 제도들을 통해 청년 취업준비생들이 이전보다 더 취업에 성공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